육아12 12~24개월 아이 똑똑하게 키우고 싶다면? 아기가 태어났을 때는 '건강하게만 자랐으면 좋겠다'라는 마음이었다가도, 시간이 갈수록 똑똑해지기를 바라는 것이 부모의 욕심인 것 같습니다. 걷기도 전에 전집을 들이고, 함께 놀이하면서도 뭔가 가르치고 싶은 마음이 슬그머니 올라오곤 합니다. 사람의 뇌 발달은 어릴 때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아이를 똑똑하게 키울 수 있는 걸까요? 1. 아이에게 놀이란? 아이가 생각하는 놀이와 어른이 생각하는 놀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아이 편에서 놀이의 의미와 놀이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또 아이들은 어떤 단계를 거쳐 놀이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놀이의 의미 어른에게 놀이와 학습은 다른 개념입니다. 놀이는 즐거운 것, 학습은 하기 싫지만 해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에게는 놀이가 곧 학습입니다. 놀면서 세.. 2023. 1. 7. 혹시 내 아이가 자폐증일까요? 요즘 자폐에 대한 내용이 TV에서도 많이 등장합니다. 듣다 보면 혹 '내 아이가 자폐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자폐증(Autism)이란 언어와 의사소통, 사회화와 행동 영역에 걸친 발달상의 장애를 뜻합니다. 자폐 스펙트럼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자폐증과 자폐 스펙트럼은 다릅니다. 자폐 스펙트럼은 자폐증 진단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일부 또는 여러 부분에서 특징이 비슷한 여러 증후군을 모은 개념입니다. 자폐가 흔한 증상은 아니지만 의심이 된다면 한 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 자폐증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뇌신경 손상이나 뇌 화학적 요소의 불균형이 주된 원인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또 임신 중 세균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보통 남자에게서 더.. 2023. 1. 6. 12~24개월 아이의 부모라면 읽어야 할 글 지난 1년간 아이는 성장의 성장을 거듭했습니다. 이제 잠자는 것도 자리가 좀 잡히고 엄마, 아빠를 알아보며 방긋방긋 웃어주는 아이가 너무 예쁩니다. 더 이상 아이는 이전의 누워있던 아기가 아니고 부모는 또 성장한 아이를 어떻게 대하고 어떤 마음으로 키워야 할지 새로운 고민이 생깁니다. 이 시기의 부모가 어떤 자세를 가지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아이에게 자꾸 화를 내게 된다면? 육아는 정말 힘듭니다. 회사는 틈내서 쉬기라도 하지만 육아에는 휴식도 없습니다. 나의 24시간이 아이 위주로 돌아갑니다. 체력이 받쳐줘야 마음에도 여유가 생기는데 몸이 힘드니 작은 일에도 짜증이 납니다. 그런데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는 활동량이 늘어나지요. 욱한 나머지 아이를 때리기라도 하면 죄책감에 마음은 더 힘듭니다. 화를.. 2023. 1. 4. 12~24개월 아이의 특징 태어난 지 1년이 지난 아기는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서 이제 엄마, 아빠를 말하고, 걸을 수 있게 됩니다. 아기 때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며 신체적, 감정적 욕구를 나타냅니다. 그런 아이에게 전과 똑같이 대하면 안 되겠죠. 부모가 알아두면 좋은 12~24개월 아이의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자아 형성 아이가 '아니야'라는 말을 하게 되는 시기가 옵니다. 그러면 '아, 이제 우리 아이에게 자아가 생겼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전엔 엄마가 나고 내가 엄마인 의존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한껏 자유로워진 몸만큼 마음도 자유로워지려 합니다. 세상에는 처음 보는 것, 신기한 것이 너무 많습니다. 호기심 천국입니다. 주변의 것들을 탐색해 봅니다. 물고 빨면서요. 그런데 엄마가 보기에는 위험하.. 2023. 1. 3. 이전 1 2 3 다음